매경테스트 104회 복기 2
안녕하세요! 열꽁이입니다.
매경테스트 104회를 떨어지고,, 그 충격으로 공부를 더 하고자 글을 써요!
오늘은 매경테스트 104회 복기를 저번 글에 이어서 준비했습니다!
● 매경테스트 104회 복기 2
1. 밀어내기 효과 (=구축효과): 정부지출의 증가가 이자율 상승을 통해 민간부문의 투자를 위축 시키는 현상
2. 승수효과: 확대재정정책을 위해 정부가 실제로 지출한 금액보다 총 수요가 더 크게 증가하는 현상
3. Capm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CAPM (Capital Asset Pricing Model)은 자산의 기대 수익률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델로 자산의 위험과 기회비용을 반영하여 자산의 가격을 산출한다.
(베타= 주식이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험, 시장리스크 프리미엄을 활용하여 기대수익률을 계산한다)
-> 주로 주식과 같은 개별 자산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 CAPM은 시장리스크를 반영한 위험 프리미엄을 사용하여 자신의 수익률을 구한다. 즉 베타를 기반으로 평가된다.
* 계산 공식 = E(RI)=Rf+ βi (E(Rm)-Rf)
4. Wacc (가중평균자본비용) :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다양한 경로에서 발생하는 자본 비용을 가중평균하여 산출한 지표
-> 기업의 자본 구조를 반영하여 부채와 자기자본이 가업의 전체 자본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계산된다.
-> 투자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평가하거나 기업가치를 산출할 때 중요함 (전체자본구조와 관련 있음)
-> 부채의 비용은 세금혜택을 고려하여 조정됨
-> 계산 공식: (E/V × Re) + (DV ×Rd ×(1-T))
-> 특징
① 자본구조 반영② 세금 고려③ 자기 자본과 부채의 비율
5. 자본스톡: 일정시점 고정 자본량을 스톡(stock) 개념으로 파악해 표시한 것이다.
6. 캡티브프로덕트 (포획상품 가격전략): 어떤 주된 제품과 연관되어 사용해야 되는 제품이 있을때, 제품은 저렴하게 판매하고, 부수적인 제품은 고가로 판매하는 전략
7. 총수요: 일정기간동안 경제 주체들이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려는 총량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
* 이때 자본스톡은 총수요에 포함되지 않음
8.
코오즈 정리:
한 사람의 행위가 제 3자의 경제적 후생에 영향을 미치면서 그 영향에 대한 보상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에 '외부효과'가 발생한다.
9. 화폐중립성: 고전학파는 장기적으로 명목 변수인 통화량이 실질 변수인 실질 GDP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즉, 실질 임금이나 실질 GDP, 실업률 등의 변수에는 화폐의 양이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10. 집중투표제: 이사를 선임함에 있어서 선임하고자 하는 이사의 수만큼의 의결권을 1주식의 주주에게 부여하는 제도이다.
11. 내부수익률 (IRR) = 사업기간 동안 현금수익 흐름을 현재가치로 환산하여 합한 값이 투자지출과 같아지도록 할인하는 이자율->. 순현재가치를 영(zero)로 하는 할인율을 뜻한다.
12. 부분 지급준비금: 중앙은행이 일정 금액의 예금을 준비하여 금융시장의 안정과 화폐가치 유지를 위해 운영하는 제도
13. 오픈 이노베이션: 기업이 다른 기업이나 연구기관등 외부로부터 특정기술과 정보를 도입하는 동시에 기업 내부의 자원이나 기술을 외부와 공유하면서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전략
14. 도덕적해이 : 쌍방간에 계약이 이루어진 이 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에 서로에 대한 의무를 소홀히 하는 현상
(한쪽 당사자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상대방이 감시하거나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을 이용해 불리한 행동을 하게 되는 현상 -> 정보 비대칭으로 인해 계약 후 행동의 변화)
(ex) 파격적인 성과급 제시 (사후 보상)
15. 역선택: 의사결정이나 위험관리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아서 시장에서 저품질 상품이 많아지고 고품질 상품은 시장에서 사라지는 문제 (ex) 중고차 시장
(ex) 채용과정에서 직원 선별시 보유 자격증 제출 (사전 선별)_선별하기
15. 총 수요를 감소시키는 요인 (총 수요 =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 (수출-수입)
① 물가 상승② 이자율 상승③ 금리 인상④ 소비와 투자 감소⑤ 세금 인상⑥ 정부지출 감소⑦ 원화가치 상승 (환율 하락) -> 수출 감소 & 수입 증가⑧ 경기 침체 우려
16. 스태그플레이션 : 스태그네이션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거시경제학에서 고 물가상승과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
17. 파레토 효율 : 어떠한 사람에게도 손해가 가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에게 이득을 주는 변화
(ex) a, b 모두 관세를 택할 것이다. a,b 모두 비관세를 택할 것이다.
여기까지 준비했습니다!!
다음 3탄 가지고 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