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열꽁이입니다.
최근에 미국의 SUV 파산 사태로 세계 시장에 불안감이 지속되었는데요.
지금은 어떤 상황인지 한번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기준 금리 인상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에서 기준금리를 0.25%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한국 기준금리와 1.50% 차이가 나는데요.
미국의 금리 인상 결정으로 원화가치는 하락함에 따라 환율을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외국계 자금(달러)가 국내시장을 이탈 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한국의 기준금리가 더 높아야 해외에서도 한국에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연 5% 에 접어들면서 미국발 경기침체가 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고금리에 따른 휴유증이 올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요.
최근 실리콘뱅리 은행(SVB)와 시그니쳐은행 등의 미국 지역은행이 연달아 파산하면서 이렇게 높은 금리인상의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른 현상
미국 금리 인상에 따라서 국내 은행의 대출 금리는 낮아지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금리가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여 하락한 것 입니다.
또한 미국의 연속적인 금리 인상으로 미국이 더 빨리 경제 침체를 맞이할 수 있다는 전망이 있습니다.

미국의 경제성장률 추이로 조면 마크 잔디 무디스 애널리틱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올 2~3분기 미국 경제 성장률을 0~1%로 제시하였고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하였습니다.
골드만삭스 또한 경제성장률이 1.2%로 하향을 전망했고 JP모건도 경제성장률을 0.5~1.0%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미국은 주요 기업이 기존 인력 구조조정에 착수했으며 그 예로 구글, 메타, 아마존 등 주요 업체들은 대규모 해고를 이어왔습니다. 또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글로벌에 따르면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7.3으로 4개월째 위축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미국 경제에는 계속된 침체의 모습과 달리 중국은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국의 공식 제조업 PMI는 11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올해 성장률 목표를 5%이상으로 설정하여 성장 회복세를 보여줄 것이라고 예측하였습니다.
여기까지 준비하였습니다.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유용한 지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워크] 앱테크 추천 (0) | 2023.03.25 |
---|---|
대기업 연봉 순위 (0) | 2023.03.25 |
비트코인 급등에 대해 (0) | 2023.03.21 |
에코프로 주가 전망 (0) | 2023.03.19 |
팝송 추천 (늘 제자리 걸음 일때) (0) | 2023.03.17 |